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국내여행

몽촌토성 걸어보기!

by 마이욜 2010. 5. 25.

 몽촌토성 역에서 내려 먼저 올림픽 공원으로 들어섰다.

 

 우리나라의 서까래와 기둥, 처마의 곡선 그리고 오방색을 사용해 만들어진 역사의 문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또한 우리나라의 온갖 탈 모양이 주욱 늘어서 있다.

 

 

                                                   이 곳엔 88 올림픽을 기념해 참가국들의 돌들을 모아 놓은 기념탑

 

                                                                           88 올림픽에 참가한 나라들의 국기가 걸려있고

 

                                                         자랑스럽게도 우리 나라의 순위는 4위!  일본과 중국을 앞질렀네

 

                                                                이제부턴 산책하기에 너무나 좋은 몽촌토성 길이다.

 

 

 

 

 

                                                    낮은 구릉에 쌓은 백제때의 산성으로 당시의 이름은 알 수 없다

                       성안에 "곰말'(꿈말) 곧 몽촌이라는 마을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이름을 얻었다 한다

 

                                                                                                                 충헌 김공 신도비

    

 신도비는 영조 19년 10월에 건립 되었는데 화강암으로 만든 대좌위에 대리석의 비신을 세우고 그 위에 화강암으로 지붕 모앵의 개석을 얹은 형태이다. 대석에는 아무런 꾸밈이 없으나 개석에는 서까래와 기왓골을 세우고 네 귀퉁이에 봉황을 새겼으며 용마루에 쌍용을 새기는 등 조각 장식이 화려하여조선후기의 석비 가운데 우수한 예라고 한다.

신도비 북쪽의 묘소 주위에는 묘갈,망주석,석등,석양등의 석물이 있는데 모두 조각 솜씨가 뛰어나다.

 

 

 

 

                                                                                         이 곳에서 가장 오래 된 느티나무

 

 

                                   소나무의 아래부분의 암꽃(송화)과 윗부분의 보라색 수꽃을 함께 보게 되었다.

 

 

                                                                                                                           불두화

 
백당나무 /백당나무(Vibumun sangentii)

키가 3m에 달하고, 잎은 마주나는데 3갈래로 나누어진 것도 있다.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조금 있으며 잎자루의 길이는 약 2㎝이다. 흰색의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서 산방(繖房)꽃차례로 무리져 피는데, 꽃차례 한가운데에는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갖춘 꽃(有性花)이 핀다. 꽃부리는 지름이 5~6㎜로 아주 작으며, 가장자리에는 지름 3㎝의 매우 큰 꽃부리로 이루어진 중성화(中性花:암술과 수술이 모두 없는 꽃)가 핀다. 열매는 9월경에 붉은색으로 익어 겨우내 매달려 있다. 꽃이 달리는 모습이 수국과 같아 목수국(木水菊) 또는 백당수국이라 부르기도 하나 수국과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모든 꽃이 중성화로만 이루어진 품종을 불두화(V. sargentii for. sterile)라고 하며 절에서 흔히 심고 있다

 

                                                                                 저녁에는  접히며 서로 마주보고 있는 잎새

                 새로 결혼을 하는 신랑 신부의 곁에 금슬이 좋으라고 자귀나무 잎사귀를 놓아두기도 했다고.

 

 

                                                                                                               때죽나무 (snowbell)

 

                     열매와 꽃은 세척제로, 잎은 적갈색 계통의 염재로 사용되는 때죽나무과 낙엽교목인데

                         꽃엔 약간의 독성이 있어  예전에는 꽃을 따모아 냇가에 뿌려 고기를 잡기도 했다한다.

 

  한가로이 몽촌토성을 걸으며 예전에 느끼지 못했던 자연에의 아름다움을 다시금 맛보며 보낸 하루였다.

'국내여행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북동 나들이 한번 잘했네!  (0) 2010.06.01
비에 젖은 두물머리  (0) 2010.05.25
문묘와 성북동  (0) 2010.05.13
동구릉이 얼마만인지!  (0) 2010.05.06
운현궁과 북촌 둘러보기  (0) 2010.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