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국내여행

문묘와 성북동

by 마이욜 2010. 5. 13.

 오늘은 문묘를 찾아 나선 길!

 

 

                                                         성균관 대학교 정문을 들어서니 맨 먼저 보이는것이 탕평비

 

 

공교롭게도 오늘이 일년에 한번 있는 제례날이란다.

春期釋尊 성균관과 전국 향교에서 받들어 올리는 석전례를 우연찮게 보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는데도 비둘기들은 식사에 여념이 없다

 

                                   

 

 

 

   문묘는 1398년 (태조 7년)에 건립되었다 1400년에 화재를 입어 1407년에 재건되었으며 임진왜란때 소실되었던것을 1601년 부터 1606년에 걸쳐 원형대로 중건하였고 영조때에 완비되었으며 1869년(고종6년)에 수리가 크게 이루어졌다.

 

 

 

 

                                                                                                                    문묘봉향제위

 

                                         문묘제례악을 실제로 들으니 시간을 뛰어넘어 먼 과거에 와 있는 듯...

 

                                                                                                     

   석전은 전통적으로 나라에서 주관하던 의식의 하나로 옛날부터 학교의 선성과 선사들께 드리던 제사 의식이며 ,유교의 창시자이자 만세종사이신 공부자를 비롯한 유교의 성인과 현인들을 추모하고 그분들의 위대한 덕을 기리기 위한 행사이다.

 

 

 

 

                                        문묘의 주건물인 공부자(孔夫子)를 비롯한 성현들의 위폐를 모신 대성전

 

 

                                                                                                                           등가악

 

  명륜당 앞의 은행나무는 수나무만 있다한다. 유생들의 학업에 지장이 있을까봐 암나무는 심지 않았다고...

                                                                         그래서 이 곳에선 은행이 열리는걸 볼 수가 없단다

 

  

 

 

 

 

                                                                                           유생들의 학업 장소인 명륜당

 

                                                                                                            기숙사였던 동 ,서재

 

 

 

                                                                                                              도서관인 존경각

 

 

 

 

                                            지금은 수리중이라   둘러 볼수가 없는 식당인 진사식당(進士食堂)

                                                         예전의 유생들의 수업 출석은 바로 이곳 식당에서 하였다고...

       

                                                                                                   네모나고 좋은 댓돌은 손님용

 

                                              못 나고 찌그러진 댓돌은 주인용이라 하니 겸손의 미덕을 볼수있다  

        

                                                                        못 하나 사용하지 않고 끼어 넣어 맞춘 툇마루

 

                 성균관 문묘 일대를 돌아보고 다음은 성북동으로...흥덕사는 흔적도 없이 자리만을 알수있다.

 

                                                                            우암 송시열의 글씨만이 남아있는 집 터 바위

 

 

                   아파트가 바위위에 자리 잡고 있는것을 보니 그나마 바위라도 남아있는게 다행스러울뿐...

 

 

                                         금고일반(今古一般)이란 글자위에 낙엽이 남아 있어 더 잘 볼수있었다.

 

 

 

                                                                                            성북동에 남아있는 서울 성곽

 

 

                                                                                멀리 보이는 녹지대가 바로 간송 미술관

 

 심우장은 승려, 시인, 독립운동가였던 만해 한용운(1879∼1944) 선생이 1933년에 지은 집이다.

1910년 한·일합방이 되면서 중국에 망명하여 의병학교를 설치하고, 독립군의 훈련장을 돌면서 독립정신과 민족혼을 심어주는 일에 전력하였다. 1919년 3월 1일 독립운동이 일어나자 민족대표 33명 중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3년 동안 옥살이를 하였다. 출옥 후에도 선생은 일본경찰의 감시 아래 강연 등 여러 방법으로 조국독립을 위해 힘쓰다가 1944년 심우장에서 중풍으로 죽었다. 저서로는 『조선불교유신론』, 『님의 침묵』 등이 있다.

심우장의 규모는 앞면 4칸·옆면 2칸으로 옆에서 보았을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 기와집으로, 선생은 총독부와 마주보기 싫다 하여 일부러 북향으로 집을 지었다고 한다.

심우(尋牛)란 소를 사람의 마음에 비유하여 잃어버린 나를 찾자는 뜻이라고 한다.

 

 

 

 

                                                   현재 전통찻집 수연산방(壽硯山房)으로 변해있는 상허 이태준가

 

 

보통의 한옥은 사랑채와 안채로 구분되고 있는데 반해, 이 집은 사랑채와 안채가 한 건물 안에 배치되어 있다.

 

                                                                      마루난간의 강아지 얼굴이 미소를 자아내게 하기도...

'국내여행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에 젖은 두물머리  (0) 2010.05.25
몽촌토성 걸어보기!  (0) 2010.05.25
동구릉이 얼마만인지!  (0) 2010.05.06
운현궁과 북촌 둘러보기  (0) 2010.04.27
목멱성곽  (0) 2010.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