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10

여일 60 x  30 x 28 cm    합성수지에 채색                          하루 하루 늘 편안함을 인체로 표현 해 본 작품으로 2024년도 여류조각회 50주년 기념전에 출품 2025. 1. 18.
읍천리 관조 일본서 다니러 온 친구와 둘이 오랜만에 경주, 포항을 다녀오기로 하고 길을 나섰다. 편하게 코레일 투어로 서울역에서 기차로 출발 한 여행 길은 설렘으로 가득. 버스로 연게 되어 한결 편한 여행길이다. 이틀 일정으로 경주. 포항을 둘러보고 경주 바닷가에서 본 세계에 하나뿐인 누워 있는  주상절리가 계속 생각 나집에 오자마자  구상을 하고 작업에 착수 해  6개월 만에 완성한 작품으로 2024년 한울회전에 출품 2025. 1. 18.
굴곡진 역사 속 움튼 삶의 열망을 응시하다 서울 신문에 실린 글“사진 작품은 결코 아름다움만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 삶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표현해야 한다. 그것이 아름다운 것이든 추한 것이든 참혹한 것이든….”사진 찍는 사람을 그저 ‘사진사’로 불렀던 시절 예술을 한다는 자부심으로 ‘사진작가’라는 이름을 찾아준 예술가, 한국의 굴곡진 역사와 민중의 삶을 70여년간 8만여장의 사진으로 남긴 임응식(1912~2001)의 전시가 찾아왔다. 46년 역사를 지닌 예화랑이 창덕궁점 개관 첫 전시로 준비한 ‘임응식: 아르스 포토그라피카’다.‘한국 1세대 리얼리즘 사진의 원조 작가’로 불리는 임응식은 1952년 한국사진작가협회를 창립하고 1953년 사진작가로는 최초로 서울대 미대에서 사진 강좌를 맡았던 인물이기도 하다.‘한국 1세대 리얼리즘 사진의 원.. 2025. 1. 18.
1세대 사진작가 임응식 폐허에서 핀 희망 '찰칵' 매일경제에 실린 글임응식 '아침'(1946). 부산 서면에서 이른 아침 꽃을 머리에 이고 가는 분주한 아낙네들의 모습을 담은 작품이다. 예화랑 일제강점기, 해방, 한국전쟁, 산업화…. 한국의 굴곡진 근현대사를 온몸으로 겪어온 임응식(1912~2001)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에 참가하는 등 종군 사진기자로 활동하며 폐허가 된 서울과 인천, 부산 등 도시와 그 안에서 고군분투한 사람들을 카메라에 담았다. 그의 사진은 있는 그대로의 장면들을 포착했지만 무너진 건물에서도, 피난촌에서 아이들이 옹기종기 앉아 있는 모습에서도 더 나은 내일을 향한 희망을 노래하듯 따뜻함이 느껴진다.46년 역사의 예화랑이 서울 종로구 창덕궁길에 새로운 전시 공간인 창덕궁점을 개관했다. 첫 전시로 예화랑 창덕궁점은 '생.. 2025.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