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국내여행

목멱성곽

by 마이욜 2010. 4. 21.

 목멱성곽을 보기위해 남산을 오르는 초입부터 진달래,개나리 ,벚꽃이 화사하게 반겨준다.

 

 

 

 

 

남산을 목멱산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산 위에 목멱신사가 있었던 데서 유래한다.태조 4년(1395) 12월에 북산인 백악산신을 진국백, 남산의 산신을 목멱대왕으로 봉작하여 국가에서 제사를 받들게 하고 목멱대왕을 봉사하는 사당을 목멱신사, 이 신사가 있는 산을 목멱산으로 부르게 되었던 것이다. 남산 꼭대기에 자리한 목멱신사를 나라에서 제사지내는 사당이라 하여 일명 '국사당'이라고도 했다. 이 국사당 건물은 지금의 서울타워가 있는 언저리 성벽 안에 자리했다.

 

 남산은 그 모습이 달리는 말이 안장을 벗은 것 같다(走馬脫鞍形)고 하고, 남산의 서쪽 봉우리를 누에머리라고 했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누에는 뽕 잎을 먹고 살기 때문에 남산의 지덕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뽕잎을 대어 줄 필요가 있으므로 남산이 맞바로 보이는 한강 건너 사평리에 뽕나무를 많이 심었다고 한다. 그 후 이곳의 지명은 잠실로 바뀌어 잠원동이 되었다 한다.

 

 

    예전엔 이 순환로길은 드라이브 길로 여러 번 지나쳤었는데 이젠 둘레길로 재 단장 하여 시냇물도 흐른다

 

 

 

 

                                        남산으로 오르는 케이블카를 타고 내려다 보니 벚꽃이 한층 환상적이다

 

 

 1394년 한양천도 이전까지만 해도 남산은 한갓 작고 평범한 뫼에 지나지 않아 인경산이라고 불렸지만, 조선의 도읍지로 되면서 역사의 중심무대에 올려졌다. 조선 정부는 남산을 남쪽의 외적을 막는 자연의 방패로 삼아 태조 5년(1396) 1월에 1차로 18km의 도성을 쌓고, 다시 2차로 그해 8월에 보수했다

 

                      

                                                                                                                                봉수대

남산은 조선초 태종 6년(1406) 12월부터 갑오개혁 때까지 500년간 국방의 중요한

시설인 5개의 봉수대가 설치되어 있어, 전국의 봉수를 받아 국경이나 해안의 이상

 유무를 병조(兵曹)에 보고했다. 조선 후기에는 어영청의 분영인 남소영과 

금위영의 분영인 남별영이 남산 기슭에 자리하여 남산 일대를 무예훈련장으로 삼았다

 

 

 

                                                                          조각  설치 작품이 공중에 매달려 눈길도 끌고

 

  

                                                                               성벽을 쌓은 모습으로 연대를 알수있다.

 

 태조5년(1396)에 축조된 도성 : 비교적 잔 석재로 쌓았으며, 성벽의 구배도 크게 잡음. 

 

 

 

      세종4년(1422)에 축조된 도성 : 하부는 대형석재로 면을 직각으로 다듬지 않고 모가

                           둥글둥글하게 된 것으로 쌓고, 상부는 태조때 사용되었던 잔 석재를 사용함.

 

 

 

숙종 30년(1704)에 축조된 도성 : 정방향으로 다듬어 벽돌 쌓듯이 빈틈없도록 견고히

                                                              축조되었으며, 다소 경직된 분위기로 느껴짐. 

 

  

 

 

 

                                                                                                                남산 제비꽃

 

                                              흔히 라일락이라 불리는 수수꽃다리는 아직 만개하기엔 이른 시절 

 

 

 

 

                                                                        안중근 의사 동상과 기념석들을 모아 놓은 광장

 

 

도성의 전체

 

 

 

남산을 케이블카로 올라 목멱성곽을 둘러보고 팔각정, 남산 식물원 자리로 해서 숭례문을 거쳐

서소문까지 둘러보는 서울 성곽의 모습을 되새기며 한나절 순례를 마치니 어느새 이마엔 땀방울이 송송^^

 

 

'국내여행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구릉이 얼마만인지!  (0) 2010.05.06
운현궁과 북촌 둘러보기  (0) 2010.04.27
청계천 나들이  (0) 2010.04.14
덕수궁을 꼼꼼히 다시보네!  (0) 2010.04.06
석파랑 나들이  (0) 2010.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