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10년만에 동기간에 오붓한 점심 식사 자리로 다시 찾은 석파랑
원래 석파정은 조선 제25대 철종과 제26대 고종 연간에 영의정 등 고위직을 지낸 김흥근(金興根 1796∼1870)이 경영한 별서(別墅)였다고 한다. 서울 성곽의 북쪽 밖에 위치한 이곳은 수려한 산수와 계곡을 배경으로 거암(巨巖)과 오래된 장송(長松)이 많아 세검정 자하문 밖으로 통칭될 정도로 한양 도성의 경승지로 꼽혔던 곳인데, 김흥근이 소유하며 살고 있을 당시에는 '삼계동정자(三溪洞亭子)'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지금도 석파정 서북쪽 뒤 바위 앞면에 '三溪洞'이라고 새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은 집권후 이 별서를 김흥근으로부터 몰수하여 자신의 별장으로 사용했으며, 당호도 '석파정'으로 바뀌었다. 대원군은 앞산이 모두 바위인 이 집의 전망을 보고 자신의 아호를 '석파'라고 한 뒤, 택호도 '석파정'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조선말의 우국지사 황현(黃玹, 1855∼1910)의 《매천야록》 권1에는 이러한 석파정의 내력이 적혀 있다.
고종이 즉위하자 김흥근은 흥선 대원군이 정치를 간섭하지 못하게 하였지만, 곧 대권을 손에 넣은 흥선대원군은 김흥근을 미워하며 그의 재산을 빼앗기 시작했다. 당시 삼계동에 있는 김흥근의 별장은 한성에서 가장 유명한 정원이었는데, 흥선대원군은 그 별장을 팔 것을 간청하였으나 김흥근이 듣지 않자 하루만 빌려 놀게 해달라고 하였다. 서울의 옛 풍습에 따라 정원을 가진 사람으로서 빌려주지 않을 수 없어 김흥근이 억지 승락을 하자 흥선대원군은 고종이 행차하도록 권하고 자신도 따라갔다. 그 후 국왕이 거처한 곳을 신하가 감히 거처할 수 없는 곳으로 생각하고 김흥근이 다시는 삼계동에 가지 않게 되었고, 결국 이 별장은 운현궁의 소유물이 되고 말았다고 한다.
그 후 석파정은 흥선대원군의 후손인 이희(李熹), 이준(李埈), 이우(李?)의 별장으로 세습되며 사용되어오다가 6·25 전쟁 중에는 야전병원으로 쓰이기도 했으며, 전쟁후 천주교가 경영하는 코롬바 고아원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 뒤 대그룹 소유가 되고 계속 주인이 바뀌는 과정에서 석파문화원 및 박물관 건설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대문 앞 수천평을 빈터를 만든 채 방치되고 담장도 일부 훼손된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곳은 원래 서울 성곽의 북쪽에 위치한 지라 수려한 산수와 계곡을 배경으로 거암과 장송이 많아 한양의 경승지로 꼽혔던 곳이다. 집밖에서 볼 때는 다 부서져가는 대문과 암반위로 약간 드러난 지붕만이 보이지만 막상 들어가 보니 역시 주변 풍경이 참 아름답다. 남향집이라 정오가 되자 건물 깊숙이 햇빛이 들어오고 동쪽으로는 청와대 뒷산 정상이 바라다 보인다.
석파정 입구를 들어서면 왼편으로는 인왕산의 자연 암석을 타고 흐르는 계곡이 있으며, 이 계곡의 물이 흘러들어 연못을 이루는 곳 바위 면에 '소수운렴암(巢水雲簾菴)‘이라는 권상하(權尙夏, 1641∼1721)의 글씨가 새겨져 있다. “물 속에 깃들여 있으면서 구름으로 발을 친 암자)”라는 뜻인데, 암자는 현재 소실되어 남아 있지 않다.
계곡을 왼편으로 끼고 경사진 언덕을 조금 올라가면 석파정의 건물들이 나타난다. 석파정에는 현재 전면 오른쪽인 동쪽에는 안채, 그 서쪽에는 사랑채, 안채 뒤 언덕 위에는 별채 등 건물들이 있다.
남향〔癸坐丁向〕하며 'ㅁ'자형 평면으로 구성된 안채는 건물 서남쪽 모퉁이에 낸 대문간을 통해 동북쪽으로 한번 꺾여 안마당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안마당에서 봐서 안채는 동서 방향으로 5칸, 남북 방향으로 4칸 규모로 조영되어 있고, 안마당 동남쪽에는 동쪽 밖으로 통하는 편문이 나있다.
사랑채는 안채 서쪽에 역(逆)'ㄱ'자형 평면을 이루며 위치하였는데, 세벌대 화강석 기단 위에 정면 4칸, 측면 2칸 반 규모로 지은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왼쪽 끝 칸 전면에 누마루 1칸이 돌출되었는데, 뒤로 이어지는 2칸 반 모두 누마루이며 아래 부분은 벽을 막고 문을 내어 광으로 쓰고 있다. 정면에 유리문을 내어 원형에서 변형된 모습을 하고 있긴 하지만 특별히 멋을 부리지 않은 깨끗함과 권위적이지 않고 단정함이 인상적이다.
안채 언덕 뒤에 있는 별채는 안채와 사랑채 사이에 난 문을 통해 왼편으로 담을 끼고 계단을 오르다가 별채 문을 지나면 그 오른쪽 앞에 자리잡고 있다. 화강석 기단 위에 선 정면 6칸, 측면 2칸, 홑처마, 팔작지붕의 5량가 건물로, 이곳에 서면 앞으로 멀리 인왕산과 북악의 경치가 한눈에 들어온다.
사랑채 서쪽 뜰에는 노송이 차일을 치듯 사랑채 위로 드리우고 있는데, 집이 지어지기 수백년전부터 자리를 지켜온 이 노송은 현재 서울특별시 지정보호수(제60호, 1968. 7. 3)로 지정디어 있다. 그 뒤 언덕 위 바위에 '三溪洞'이라 새겨져 있다. 노송이 있는 곳에서 서쪽으로 잘 꾸며진 산책로가 있는데, 이 산책로를 따라 조금 들어가면 계곡 속에 망원정(望遠亭)이라는 중국식 정자가 남아 있다.
'국내여행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계천 나들이 (0) | 2010.04.14 |
---|---|
덕수궁을 꼼꼼히 다시보네! (0) | 2010.04.06 |
남산골의 설맞이! (0) | 2010.02.16 |
아! 이리도 멋있을수가! 신성리 갈대밭 (0) | 2010.01.12 |
청량사를 아시나요? (0) | 2009.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