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국내여행

청량사를 아시나요?

by 마이욜 2009. 11. 9.

서울에 있는 4대 비구니 사찰중의 하나인 청량사가 바로 청량리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안것이 얼마 전.

 

청량리 역을 중심으로 하여 도로가 사방으로 뻗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고 청량리 네거리에서 북쪽의 국립 산림 과학원으로 넘어가는 일대를 "홍릉"이라 부르는데 이 곳의 영휘원 가까이에 "앞말"이라는 마을이 있고

그 뒤의 바리봉에 청량사가 위치하고 있다.

 

청량사는 원래 400여년전에 지금의 영휘원 자리에 있었으나 명성왕후의 홍릉을 조성할 때인 1897년에 현 위치로 옮겼다 한다.

 

 

 

 

 

 

 

 

 일제 강점기엔 조국 독립 운동과 근대 불교운동에 앞장섰던 만해 한용운 스님이

                                                                                             한때 청량사에 머물렀다고 한다.

 

         지금은 주위가  아파트로 둘러 싸인 청량사 앞 뜰을 걷고 있는 스님을 보니 웬지 씁쓸한 느낌이 든다.

 

                                                                                                                            영휘원

                                                                      조선왕조 26대 고종황제의 후궁인 순헌귀비 엄씨의 원

 

     순헌귀비는 명성왕후가 일본인에 의해 시해된 후 고종황제의 총애를 받은 후궁으로 의민 황태자 영왕

                                          (英王) 어머니로 정비가 아니었으므로 릉이라 칭하지 못하고 원이라 칭한다.

 

 

 신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순헌귀비는 양정의숙,진명여학교를 설립하였고 숙명여학교의 설립에 기부하여 

                                                                                                 근대 사학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고종황제의 넷째 아들인 의민 황태자의 장자인 이진의 묘이다.

 

 이토 히로부미에 의해 황태자로 책봉된 의민 황태자 영왕은 1907년에 교육이라는 명목하에 인질로 일본에

                                                강제로 잡혀갔다가 1963년에 귀국하였으나 1970년 병으로 돌아 가셨다.

이진은 일본에서 태어나 의민 황태자 내외가 귀국하였을때 의문을 죽임을 당하였는데 순종황제의 명에 의해

                                         이 곳에 묻히게 되었다 한다. 영휘원과 시설은 비슷하나 규모가 작은 편이다.

 

 

 

 

 

 

 

 

                                        영휘원과 숭인원 내의 가을 풍취는 아직도 늦가을의 정취를 자아내고 있다. 

 

                                                                  바로 한달전에 보호수로 지정이 되었다는 산사 나무

 

 

                                                                                      떨어 진 열매가 낙엽위에 앙증맞게... 

 

 청량리에서 망우로를 따라 동북쪽으로 가다보면 전농로와 만나는 곳에 사거리가 나오는데 이 곳을 떡전교 사거리라고 하고 뒷날 도로가 확장되면서 다리가 생겨 이 다리를 떡전교라 부르게 되어 기념비를 세웠다 한다.

 

 이어 세종대왕 기념관을 둘러 보았는데 주변엔 조선왕조 세종때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해 측우기를 만들고 이 방법으로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 수표이다.

 

 한강변과 청계천 2곳에 설치하였는데 한강변의 것은 바윗돌에 직접 눈금을 새긴 것이고 청계천의 것은 낮은 돌기둥 위에 나무 기둥을 세운 형태인데 지금까지 남아 있는 청계천의 수표는 성종(1469~1494)때 돌기둥으로 개량한것으로 높이 3m,폭 20cm의 화강암 사각기둥으로 만들었다.

 

끝으로 세종대왕 기념관엘 들러 세종시대의 대표적인 문화 유산들을 둘러 보면서 그 동안 너무나 몰랐던

                                                   서울의 청량리 주변에 이렇게 좋은 곳이 있었구나 감탄하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