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국내여행

창덕궁의 후원

마이욜 2011. 5. 4. 01:33

창덕궁은 궁궐의 면모도 훌륭하지만 특히 아름답고 넓은 후원 때문에 왕들의 사랑을 받았다.

 

                                                                                                                    부용지

 

자연의 지형을 그대로 살리면서 골짜기마다 정원을 만들었는데 부용지,애련지 관람지,존덕지 같은 연못을

만들고 옥류천 주변에는 소요정,청의정,태극정등 아담한 규모의 정자들을 세워 아름답게 완성하였다.

 

마침 중앙일보에 실린 부용정의 기사가 있어 실어본다.

 

"못에 살짝 발 담근 정자 세상 근심 씻고 가시라"

 

팔각 돌기둥을 물에 세우고 +자형 정자를 세워 방 하나가 물에 떠 있습니다. 방이 4개입니다.물 위에 지은

한단 높은 방은 임금의 방일 것이며 나머지 3개는 상궁과 나인들이 대기했을 것입니다.

1707년에 지은 택수재를 1792년 (정조 16년) 고쳐 지으며 이름도 바꿨답니다.

모든 창을 접어 들쇠에 올리면 정자는 사방이 탁 트인 공간이 됩니다.

부용정은 건물 자체도 국내 제일이지만 정자에서 내다보는 정경도 일품입니다.

 

  직접 걸어서 골짜기의 연못과 정자들을 찾아 다녀야만 후원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부용지 북쪽 언덕에 어수문과 주합루가 배어난 자태를 자랑합니다.

 

      주합루 1층이 규장각이다.  정조는 왕위에 오르자마자 규장각을 설치하여 인재를 모으고 나라의 기강을

                                                  바로 잡는 혁신정치를 펴서 조선시대 문화를 가장 화려하게 꽃 피웠다.

 

 

                    임금의 불로 장수를 기원하며 돌 하나로 만든 불로문을 해설사가 재미있게 설명하고 있다

 

                                                                                                                            애련지

 

 

 

                                                                        애련지를 바라보고 있는 작은 건물인 의두합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가 사색을 하며 책을 즐겨 읽었던 장소라고 알려지고 있다

 

 

                                                                                                      연경당의 사랑채문

                                                                  남자들이 가마를 타고 드나드는 이유로 솟을대문이다

 

          

         창덕궁에 있는 다른 건물이 단청을 한데 비해 연경당은 하지 않았다.

                    매우 단촐하고 아담하여 조선시대 사대부의 집 형태를 보여준다.

 

 주자가례에 따라 주인대감의 일상 거처인 사랑채와 안주인등 여성들의 공간인

  안채로 나뉘어 있는데 며느리방과 사랑채 사이에 시어머니의 방이 있다니! ....

 

 

 

 

 

 

 

     부용지 (芙容池)  부용지는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는 동양의 전통적 우주관에 의해 조성된 연못

 

                                                                 외국인도 우리 정자의 아름다움에 매료된듯 하다

 

 

 

   옥류천 주변에는 아담한 규모의 전각들을 세워 자연을 더 아름답게 하였고 바위에는 시구가 적혀있다.

 

                                                 왕은 후원에 직접 곡식을 심고 길러 농사의 어려움을 체험하였고,

                                                             왕비는 친히 누에를 쳐서 양잠을 장려하기도 하였다한다.

 

                                                              인현왕후가 쫒겨났다가 다시 입궐한 문이라는 설명

 

 

 

 

 

 

 

 

                                                                           궁궐의 뒷동산을 왕의 걸음으로 걸어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