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국내여행

동구릉이 얼마만인지!

마이욜 2010. 5. 6. 23:27

 

519년의 역사를 지닌 조선은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서 조상에 대한 존경과 숭모를 매우 중요한 가치로 여겨 역대 왕과 왕비의 능을 엄격히 관리하여 42기 능 중 어느 하나도 훼손되거나 인멸되지 않고 모두 제자리에 완전하게 보존 되어 있다.

 

독특한 건축 양식과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600여년전의 재례가 오늘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살아있는 문화 유산으로 2009년 6월30일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월 첫 주.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을 찾았다.

 

                                                                                    신성한 지역임을 알리는 문인 홍살문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어진 길로 박석을 깔아 놓았으며 왼쪽의 약간 높은 길은 신이 다니는 길이라 하여

                      신도(神道)라고 하며 오른쪽 약간 낮은 길은 임금이 다니는 길이라 하여 어도(御道)라고 한다

 

                                                                   능 제향을 올리는 丁자 모양으로 지은 집이라 정자각 

 

 

                                                                                            수릉 (추존 문조와 신정왕후의 능)

문조(익종 1809~1830)는 제 23대 순조의 아들로 효명세자 시절 대리 청정을 시작하여 인재를 널리 등용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펴기 위해 노력했으나 22세에 요절하였다.

1834년 아들 현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익종으로 추대되고 고종 때 문조로 추존되었다.

 

신정왕후(1808~1890)는 풍은 부원군 조만영의 딸로 1819년 효명세자와 가례를 올리고 세자빈에 책정되었다.

1834년 부군인 효명세자가 익종으로 추존되자 왕대비가 되었고 1863년 철종이 후사없이 승하하자 흥선대원군의 차남 고종을 왕위에 올린 후 수렴청정 하였다. 83세까지 천수를 누리며 조선후기 정국을 주도했다.

 

                                              망료위는 제향 봉행 후 축문과 페백 그리고 서직을 태우는 곳이다 

 

                                                                                         

                            왕비는 왕의 좌측에 있는것이 관례인데 신정왕후는익종왕의 우측에 놓여있다

 

 문종은 제 4대 세종의 맏 아들로 8세에 세자가 되어 29년 동안 세자 자리에 머물면서 학문을 익히고 정치 실무를 배웠다.1450년 세종이 승하하자 왕위에 올랐으나 건강 악화로 재위 2년여만인 39세에 승하했다.

 

현덕왕후는 화산부원군 권전의 딸로 1431년  세자궁에 궁녀로 들어가 세자의 후궁이 되었다.1437년 세자빈인 순빈 봉씨가 폐위되자 세자빈에 올랐으며 1441년 단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세상을 떴다.사후 1450년 문종이 즉위하면서 왕비로 추봉되었다.

 

                                                                                                                           현릉

 

 

 

 

                                                                조선 14대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 계비 인목왕후의 능

 

선조는 제 11대 중종의 아들인 덕흥대원군의 세째 아들로 1567년 명종이 후사없이 승하하자 왕위에 올랐다.

선조는 이황,이이 등 인재를 등용하여 선정에 힘쓰는 한편 여러 전적을 간행해 유학을 장려했다.그러나 심각한 당쟁으로 정치는 불안정했고 임진왜란으로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의인왕후는 반성부원군 박응순의 딸로 1569년  왕비에 책봉되고 가례를 올렸으나 자녀를 두지 못했다. 

 

인목왕후는 연흥부원군 김제남의 딸로 1602년 왕비로 책봉되어 1606년 에 선조의 유일한 적통인 영창대군을 낳았으나 광해군의 손에 아들을 잃었다.인목왕후는 서궁에 유폐되었다가 인조 반정으로 복위되어 대왕대비에 올랐다.

 

   목릉의 신도는 지형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조영되어 정자각에서 선조릉과 의인왕후릉,

                                                               인목왕후릉으로 각각 뻗으며 꺽이고 층이 생기기도 했다.

 

 

                                                                                           건원릉 ( 조선 제1대 태조의 능)

 

  고려의 뛰어난 무장이었던 태조 이성계는 1392년 개경(지금의 개성)에서 왕위에 올라 새 왕조를 열었다.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고 나라의 이름을 조선이라 정하는 등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였다.명나라와의 친선을 도모하기 위해 사대정책을 썼고 농본주의를 통해 농업을 장려했다.

그러나 아들들의 권력다툼이 화를 불러 일으키자 정치의 뜻을 버리고 고향 함흥으로 돌아갔다. 말년에는

 불도에 정진하다 1408년 5월24일 창덕궁에서 74세의 나이로 승하했다.                                                                                             

                                                             건원릉의 정자각에는 다른 능과 달리 배위가 깔려있다.

 

            무인석( 문인석 아래에서 왕을 호위하고 있으며 두손으로 장검을 짚고 위엄있는 자세로 서 있다)

 

                                                                              건원릉에서 내려다 보이는 정자각의 지붕

 

                                                                                                                   망주석

 

     말년에 고향 그리워하며 그 곳에 묻히기 원했던 태조를 위해 태종이 태조의 고향 영흥의 흙과 억새를

                                                                      가져다  건원릉 봉분에 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능침의 난간석과 장명등 그리고 혼유석

 

                                                        장명등 사이로 보이는 문인석. 두손으로 홀을 쥐고 서 있다.

 

                                                                                                                         지대석

 

 

 

 

                                                                                                참도 사이에 피어 난 예쁜 꽃

 

 

                                                                                                                 망주석

                                   망주석엔 개구리가 붙어 있는데 구멍이 난 것은 제례때 차양을 치는데 쓰였다 .

 

            곡장( 봉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봉분의 동 서 북 삼면에 둘러놓은 담장)                                         

  

 

  

 

                                                                                                                 서어나무 군락지

 

  

 

 

 

                                                                  건원릉의 망료위와 수릉의 망료위는 현격히 다르다

 

 

 

                                                                                                     휘릉의 맞배지붕 정자각

 

장렬왕후는 한원부원군 조창원의 딸로 1638년 인조의 계비로 간택되어 가례를 올리고 왕비로 책봉되었다.

1649년 인조가 승하하자 26세에 대비가 되었고 효종,현종,숙종 대까지 4대에 걸쳐 왕실의 어른으로 지냈으나 인조와의 사이에 자녀를 두지 못했다.

 

 

  

 

 

 

  

                                               흔히 보는 산철쭉보다 꽃송이가 크고 꽃잎 가장자리도 둥근 철쭉

 

 

 

                                                                                                    혜릉의 정자각과 비각